KOTRA, 중화권 매머드급 소비재 전시회로 우리 수출 늘린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KOTRA는 올해 상반기 중화권 최대 소비재 전시회에 한국관을 집중 운영해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정부는 수출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2월 발표한 ‘범부처 비상 수출대책’에 따라 2025년 상반기 주력 수출 품목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산업부와 KOTRA는 올해 상반기 7개 중화권 대형 소비재 전시회에서 한국관을 연속 운영해 수출 확대와 비즈니스 투자 기회 발굴을 추진한다.

참가 전시회는 뷰티, 일반소비재, 선물용품 등 품목별 특화 전시회로 구성되며 중국 본토뿐 아니라 홍콩, 대만 등 중화권 전역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광저우가 속한 중국 남부 지역은 글로벌 무역·물류 중심지로 아세안 및 중화권 시장과의 교역에 있어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 중이다.

이번 한국관 참가 전시회는 △홍콩 춘계 소비재전자전(4.11~4.14) △하이커우 국제 소비재전(4.13.~4.18) △광저우 춘계 수출입교역전(이하 캔톤페어) 1~2기(4.13~4.18, 4.24~4.27) △홍콩 선물용품전(4.27~4.30) △상하이 미용전(5.12~5.14) △선전 국제 섬유전(6.5~6.7)까지 총 7건이다. KOTRA는 이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중화권 시장에서 수출 활로를 넓히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각각의 전시회는 프리미엄 소비재에 특화된 하이커우 소비재전, 세계 최대 소비재전인 광저우 캔톤페어, 아시아 최대 뷰티박람회인 상하이 미용전과 같이 그 특징이 뚜렷하다. 이에 KOTRA는 전시회별 품목과 시장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홍콩 소비재전자전은 제품 시연 중심의 부스 운영을, 캔톤페어와 같은 대규모 종합 소비재전은 전방위적 바이어 발굴에 주력하고, 마케팅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는 상하이 미용전에서는 인플루언서 연계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병행하는 방식이다.

홍콩 소비재 전자전(4.11~4.14)은 상반기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IT 전자전시회로, 글로벌 기업 구매본부가 밀집한 홍콩에서 열려 다양한 소싱 프로그램을 연계할 수 있다. 특히 4월은 주요 바이어의 소싱 시작 시점으로, 신제품과 파트너를 찾는 바이어가 집중 방문한다.

뒤이어 이어지는 하이커우 국제 소비재전(4.13~4.18)은 중국 4대 국가 전시회 중 하나로,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가 다수 참가한다. 특히 중국의 ‘이도면세 제도(Offshore Island Duty-Free)’*를 활용한 면세점 MD와 프리미엄 소비재 소싱을 희망하는 바이어들이 참여해 실질적인 구매 연계 가능성이 높다.

광저우 캔톤페어(1기 4.13~4.18, 2기 4.24~4.27)는 1957년 시작된 중국 최대 규모의 종합 전시회다. 매년 춘·추계 2회 개최되며 전 세계 200여 개국 바이어가 방문한다. 한국관에 참가하는 우리 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현지 트렌드를 직접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중화권은 우리 소비재 기업이 여전히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핵심 시장이므로, 중국 내 소비 흐름을 분석해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세우면 더 큰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며 “KOTRA가 지원하는 중국 메가급 전시회를 적극 활용해 대중국 수출 플러스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우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