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형 재생에너지 모델 발굴 위한 출발점 마련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센터장 김태현)는 지난 11월 27일(목) 전라남도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 2층 세미나실에서 ‘전남 사회연대경제와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 연계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라남도 내에서 최초로 사회연대경제와 재생에너지 전환을 연계해 공식적으로 논의한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날 토론회에는 사회연대경제 임직원을 비롯한 중간지원조직 관계자, 지역주민 등 40여 명이 참석해 새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사회연대경제조직이 참여하는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모색했다.
토론회는 △발제1 ‘기후위기 대응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오대균 윈클 Chief Carbon Officer, 전(前)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탄소시장 감독기구 위원) △발제 2 ‘전라남도 사회연대경제기업의 재생에너지 참여 활성화 방안’(박효준 협동조합 다문커뮤니케이션 이사장)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오대균 CCO는 기후위기에 따른 정부의 에너지 전환 방향과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의 필요성, 그리고 제도적 과제 등을 제시하며 전남이 도내 공동체 단위의 에너지 전환을 선도할 가능성을 설명했다.
박효준 이사장은 전남 사회연대경제의 현황을 바탕으로 주민출자협동조합·마을기업 중심의 발전사업 참여, 지역순환형 수익모델, 에너지자립마을 기반 구축 전략 등을 제안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김종익 상생나무 이사장을 좌장으로 △최선국 전라남도의원 △이기수 빛고을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 상임이사 △유병천 레플러스 대표이사 △유성진 전남마을기업협의회장 △김태현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장이 참여해 전남형 에너지전환 전략, 사회·주민 참여 확대, 제도 기반 조성, 금융지원 체계 마련, 사회연대경제조직의 역할 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토론회에 참여한 사회경제연대기업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정부 정책을 이해하고 지역 상황에 맞춘 대응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김태현 센터장은 “이번 토론회는 전라남도에서 처음으로 사회연대경제 관점에서 에너지 전환 정책을 논의한 중요한 이정표였다”며 “2026년 상반기 중 ‘전남형 에너지전환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제도·정책 과제 도출’에 특화된 후속 토론회 및 워크숍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새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는 기존 사회적경제를 사회연대경제로 확장하고 사회연대경제조직이 우리 경제의 중요한 한 축으로 성장하도록 전략을 마련했다*.
* 국정기획위원회는 ‘사회적경제’ 용어를 2023년 이후 UN, ILO 등 국제기구 공식 용어로 통용 중인 ‘사회연대경제(Social and Solidarity Economy)’로 통일하기로 결정
※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는 전라남도로부터 사단법인 상생나무가 위탁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영진 기자 다른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