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시설원예·축사 30% 스마트화...로봇·AI로 농업혁신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간척지 등에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 조성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자연재해, 탄소중립,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에 대응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시설원예와 축사의 30%를 스마트화한다.

이를 위해 시설원예와 축사에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보급하고 간척지에 대규모 스마트팜을 조성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열린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올해 161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 전세계 스마트농업 시장은 연평균 10%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존디어(Deere&Company)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같은 선진국의 거대 농업기업들과 첨단기술 기업들이 인수합병과 협업으로 기술발전 및 시장확장을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3000억원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스마트농업 시장은 관련 기술발전과 농가 도입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다수 농업인의 기술활용 역량과 기술에 대한 신뢰도 낮아 스마트농업 보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 혁신 민간 주체 육성 ▲품목별 스마트농업 도입 확산 ▲스마트농업 성장기반 등을 3대 추진전략으로 하는 혁신방안을 추진한다.

우선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 민간 혁신 주체의 역량을 강화해 자율적 디지털 전환 환경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농업인의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을 키우기 위해 스마트농업 보육센터(4개소)를 중심으로 생산자 단체와 협력해 실습 중심의 현장 교육을 강화한다.

기술적 역량을 갖춘 전문 기업을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농업 기술·장비·서비스 기업으로 육성하고,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도 양성한다.

또 기존 온실·축사에 환경제어·데이터관리 등 즉시 적용 가능한 기술과 장비를 보급, 스마트 시설로 전환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 딸기·화훼 온실에서 재배하는 주요 품목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1만ha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인공지능(AI) 서비스를 보급하고 축사 1만 1000호에는 악취·질병 관리에 필요한 시설·장비와 축산 사물인터넷(IoT)을 갖추도록 할 방침이다.

간척지 등 유휴부지에 100ha 내외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장기 임대하고 스마트 축산 단지 조성은 시설이 노후되고 주거지에 인접해 있는 축사 이전과 연계해 추진한다.

시설·축사·노지 등의 스마트화를 촉진하기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와 스마트팜 시범단지에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 개방형 스마트농업 데이터·AI 플랫폼을 구축한다.

각종 생산기반의 기후변화 대응력도 높인다. 가뭄에 대비한 밭작물 자동 관배수 시스템 등 스마트 기술·장비 보급을 확대하고 자율 주행 트랙터·콤바인 및 드론·로봇 등 첨단 농기계를 개발·보급한다.

기후에 민감한 노지작물의 적정 생산 솔루션(AI 서비스) 개발·보급을 위해 인공위성·드론의 영상정보 활용도 확대한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장한 것처럼 스마트농업이 기후변화, 노동력 부족, 환경부담 등의 해결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농업인이 스마트농업을 활용하고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이 스마트농업 장비·서비스를 제대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며 “우리 농업인·기업 등이 중심이 돼 스마트농업을 확산시키고 우리 농업을 혁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예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