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연내 출범…범죄 즉각 대응

- 보이스피싱 근절 현장간담회 개최…금융·통신·수사 정보 및 AI 분석 정보 활용

금융위원회가 금융·통신·수사 정보를 통합한 보이스피싱 AI 플랫폼(가칭)을 연내 출범하여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는 대통령 지시에 따른 후속 조치다.

현장 전문가 의견 수렴, 근본적 대책 마련

28일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열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발표됐다. 금융위는 지난달 대통령의 지시 이후 10여 차례에 걸친 실무전문가 회의를 통해 대책을 논의해왔다. 특히 이번 간담회는 보이스피싱 예방 및 피해 구제 최전선에서 활동해온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근본적이고 과감한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AI, 딥페이크, 가상자산, 스미싱 등 최신 기술을 악용하여 빠르게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근절하고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현장 전문가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과감하고 근본적인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간담회에서는 보이스피싱 피해자 및 금융, 수사 전문가들이 다양한 대응 및 예방 사례와 필요한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전방위적 정보 공유 및 AI 분석 활용

금융위가 구축하는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은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와 관련된 전 금융권, 통신사, 수사기관의 정보를 집중시킨다. 이 정보는 '긴급공유 필요정보'와 'AI 분석정보'로 나뉘어 활용된다.

긴급공유 필요정보는 보이스피싱 피해 의심자의 연락처 등 긴급한 상황에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 가공 작업 없이 관련 기관에 즉시 공유된다. 이를 통해 금융회사는 피해자 보호를 위해 범죄자 계좌 지급정지 등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I 분석정보는 수많은 금융회사 계좌 중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의 특징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사전에 식별하기 위한 정보다. 이 정보들은 플랫폼에 집중된 후 금융보안원의 AI 모델을 바탕으로 최신 보이스피싱 수법을 포함한 패턴 분석을 거쳐 전 금융권의 범죄 계좌 사전 차단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정보 공유를 통해 금융회사, 통신사, 수사기관은 보이스피싱 범죄 의심 계좌의 사전 지급정지는 물론, 피해가 의심되는 고객 및 통신 회선에 대한 사전 경고 및 안내, 범죄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 정책 수립 및 홍보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전 탐지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2금융권, 통신사, 수사당국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은 참가 기관 협의를 거쳐 연내 출범할 예정이며, 모든 금융권, 전자금융업자, 통신회사, 수사기관이 순차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이번 AI 플랫폼 구축이 금융위가 구상 중인 여러 방안 중 첫 사례임을 밝히며, 앞으로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예방-차단-구제-홍보 각 단계별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정책 과제를 끈질기게 고민하여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소영 기자 다른기사보기